안녕하세요. 천종현 연구소장입니다. 수학연구소 홈페이지가 새로운 모습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이 공간을 통해 유아, 초등수학에 관한 제 생각도 간간히 전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수학 문제집을 고르는 방법'에 있어 도움이 될 만한 점들에 대하여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수학 문제집을 고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아이의 현재 수학 실력입니다. 좋다고 소문난 문제집이라고 해서 모든 아이들에게 똑같이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문제집을 고를 때는 80~90% 정도의 정답률이 나오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틀리는 문제가 없는 문제집은 아이에게 많은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몰랐던 것을 깨달아가고 배우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물론 특별한 경우는 있습니다. 아이가 잘 안 풀리는 문제를 긴 고민을 한 끝에 풀어내는 성격이라면 비슷한 아이에 비해서 정답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풀게 되는 문제는 모르는 문제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다시 말해, 10~20% 정도의 문제는 고민을 하게 되고 깨달아가는 과정이 있는 문제집이 아이에게 적당한 수준의 문제집입니다.
교과 문제집들은 보통 기본, 응용, 심화로 난이도가 분류되어 있습니다. 한 출판사의 난이도 기본인 문제집을 선택하여 공부하였다면 다음은 응용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 비슷한 난이도를 연습하기보다는 난이도 올려서 공부한 내용에서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합니다. 아이가 응용으로 시작할 정도의 실력이라면 심화를 선택하는 것이죠.
응용으로 분류된 난이도라 하더라도 문제는 기본 문제를 포함하고 있고, 실력으로 분류된 난이도라 하더라도 기본과 응용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답률이 많이 낮은 경우는 문제집을 풀지 않고 두었다가 나중에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문제집을 고르는 데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천종현 연구소장입니다. 수학연구소 홈페이지가 새로운 모습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이 공간을 통해 유아, 초등수학에 관한 제 생각도 간간히 전하고자 합니다. 오늘은 '수학 문제집을 고르는 방법'에 있어 도움이 될 만한 점들에 대하여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수학 문제집을 고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아이의 현재 수학 실력입니다. 좋다고 소문난 문제집이라고 해서 모든 아이들에게 똑같이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의 성향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문제집을 고를 때는 80~90% 정도의 정답률이 나오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틀리는 문제가 없는 문제집은 아이에게 많은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몰랐던 것을 깨달아가고 배우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물론 특별한 경우는 있습니다. 아이가 잘 안 풀리는 문제를 긴 고민을 한 끝에 풀어내는 성격이라면 비슷한 아이에 비해서 정답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풀게 되는 문제는 모르는 문제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다시 말해, 10~20% 정도의 문제는 고민을 하게 되고 깨달아가는 과정이 있는 문제집이 아이에게 적당한 수준의 문제집입니다.
교과 문제집들은 보통 기본, 응용, 심화로 난이도가 분류되어 있습니다. 한 출판사의 난이도 기본인 문제집을 선택하여 공부하였다면 다음은 응용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그 후, 비슷한 난이도를 연습하기보다는 난이도 올려서 공부한 내용에서 사고의 폭을 넓혀야 합니다. 아이가 응용으로 시작할 정도의 실력이라면 심화를 선택하는 것이죠.
응용으로 분류된 난이도라 하더라도 문제는 기본 문제를 포함하고 있고, 실력으로 분류된 난이도라 하더라도 기본과 응용문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정답률이 많이 낮은 경우는 문제집을 풀지 않고 두었다가 나중에 보는 것이 더 좋습니다. 문제집을 고르는 데 있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